[로이슈 진가영 기자] 건강식품 열풍이 식을 줄 모른다. 각종 비타민은 물론, 녹용 등 전통 보양식도 현대적 흐름에 맞게 재탄생되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.
국내 건강식품의 시장 규모는 날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. 우리 경제가 저성장 경로로 추락한 것과 비교하면 이 시장은 유독 활황이다.
그간 건강식품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중·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다. 제품도 홍삼과 비타민·프로폴리스 정도였다. 하지만 최근에는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, 건강을 중시하는 20대와 30대 등 젊은 세대도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시장이 새롭게 재편되고 있다.
이 같은 열풍의 주요 원인은 간편성을 꼽을 수 있다. 이들 제품은 최근 서구화된 식단에 익숙하고 바쁜 생활에 무엇이든 제때 챙겨먹기 힘든 20~30대 젊은층은 물론 중·장년층까지 사로잡았다.
특히 홍삼, 녹용 등 과거 한의원에서나 지어 먹어야 했던 전통 약재도 현대적 흐름에 맞게 재해석된 건강식품으로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. 이 중 녹용은 최근 섭취 편의성과 가격 대중화를 거쳐 홍삼과 함께 사계절 건강식품으로 큰 주목을 받는다.
편강한방연구소 한 관계자는 “최근 녹용도 소비자가 브랜드와 원산지를 직접 골라 먹을 수 있도록 제품이 다양해졌다”며 “특히 뉴질랜드산 이외에 조금 더 특별한 가치를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원용(元茸)으로 불리는 ‘러시아산 녹용’의 시장 주목도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”고 설명했다.
진가영 기자 news@lawissue.co.kr
건강식품 열풍… '녹용' 제품도 대중화 빨라져
기사입력:2019-01-16 16:03:27
<저작권자 © 로이슈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
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.
메일:law@lawissue.co.kr / 전화번호:02-6925-0217
메일:law@lawissue.co.kr / 전화번호:02-6925-0217
주요뉴스
핫포커스
투데이 판결 〉
베스트클릭 〉
주식시황 〉
| 항목 | 현재가 | 전일대비 |
|---|---|---|
| 코스피 | 4,010.41 | ▼32.42 |
| 코스닥 | 903.30 | ▲0.60 |
| 코스피200 | 559.51 | ▼6.18 |
가상화폐 시세 〉
| 암호화폐 | 현재가 | 기준대비 |
|---|---|---|
| 비트코인 | 168,211,000 | ▼377,000 |
| 비트코인캐시 | 827,000 | ▼3,000 |
| 이더리움 | 5,934,000 | ▼57,000 |
| 이더리움클래식 | 23,700 | ▼130 |
| 리플 | 3,881 | ▼4 |
| 퀀텀 | 2,918 | ▼13 |
| 암호화폐 | 현재가 | 기준대비 |
|---|---|---|
| 비트코인 | 168,357,000 | ▼344,000 |
| 이더리움 | 5,938,000 | ▼62,000 |
| 이더리움클래식 | 23,740 | ▼190 |
| 메탈 | 714 | ▼5 |
| 리스크 | 316 | ▼2 |
| 리플 | 3,882 | ▼5 |
| 에이다 | 962 | ▼10 |
| 스팀 | 132 | ▼2 |
| 암호화폐 | 현재가 | 기준대비 |
|---|---|---|
| 비트코인 | 168,170,000 | ▼450,000 |
| 비트코인캐시 | 828,000 | ▼6,500 |
| 이더리움 | 5,935,000 | ▼55,000 |
| 이더리움클래식 | 23,700 | ▼120 |
| 리플 | 3,881 | ▼4 |
| 퀀텀 | 2,908 | ▼22 |
| 이오타 | 214 | ▼1 |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