엄정숙 변호사 “생전증여 후 팔어버린 땅도 유류분 기초재산에 포함”

기사입력:2021-12-06 10:18:35
엄정숙 변호사.(사진제공=법도종합법률사무소)

엄정숙 변호사.(사진제공=법도종합법률사무소)

이미지 확대보기
[로이슈 전용모 기자] ”두 형제 중 동생입니다. 생전에 아버지가 형에게만 땅을 주셨습니다.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저는 형을 상대로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을 하려고 합니다. 하지만 형이 땅을 팔아버렸습니다. 팔아버린 땅도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이 가능할까요.“

유류분 기초재산을 둘러싸고 형제간 눈치 싸움이 치열하다. 아버지 생전에 증여받았던 재산을 팔아버리는 상속인들도 많아지면서 상속을 한 푼도 못 받은 유류분권리자들(상속자)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. 전문가들은 이미 팔아버린 땅이라도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이 가능하다고 조언한다.

6일 엄정숙 변호사(법도 종합법률사무소)는 ”유류분은 상속해 주는 사람이 생전(살아있을 때)에 준 재산과 사망 당시 남겨진 재산을 모두 합하여 결정 된다” 며 “생전에 땅을 증여했지만 사망 당시에는 이미 팔아버린 경우라도 기초재산에 포함하여 계산해야한다”고 말했다.

유류분이란 법이 정한 최소한의 상속금액을 말한다. 2형제만 있는 경우 원래 받을 상속금액의 절반이 유류분이다. 아버지의 증여재산이 총 2억일 때 상속금액은 각각 1억 원씩이고 유류분은 그의 절반인 5천만 원 씩이다. 유류분 전문 법률상담을 제공하는 법도 유류분소송센터의 ‘2021 유류분통계’에 따르면 유류분반환을 하기 위한 법률상담은 총 2,835건인 것으로 나타났다. 유류분소송 기간은 평균 10개월 이상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.

생전 증여된(살아 계실 때 물려받은) 땅을 팔아버린 경우도 마찬가지다. 땅을 돈으로 환산해야 한다. 땅을 판 당시의 매매가가 4억이라면 작은아들은 1억 원에 대한 유류분 권리 주장을 할 수 있다.

엄 변호사는 “유류분 소송을 하다보면 주변 시세보다 적은 금액으로 땅이 거래되어 다운 계약서가 의심되는 경우도 있다” 며 “다운계약서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등 입증절차를 밟아야 한다”고 조언했다.

만약 형이 땅을 팔지 않고 그대로 가지고 있다면 유류분 상당의 지분을 요구하면 된다. 전체 토지 면적의 4분의1을 요구할 수 있다.

한편 유류분소송에 들어간 비용도 받을 수 있다.

엄정숙 변호사는 “유류분 승소 후 소송비용액확정신청을 한 후 결정문이 나왔는데도 상대방이 소송에 들어간 비용을 주지 않는다면 은행통장 압류 등 채권 강제집행을 해서 받을 수 있다”고 귀띔했다.

전용모 로이슈(lawissue) 기자 sisalaw@lawissue.co.kr

주식시황 〉

항목 현재가 전일대비
코스피 2,565.42 ▲16.56
코스닥 726.46 ▲7.05
코스피200 339.06 ▲1.98

가상화폐 시세 〉

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
비트코인 136,662,000 ▼168,000
비트코인캐시 534,000 ▼3,000
이더리움 2,617,000 ▲1,000
이더리움클래식 24,740 ▲90
리플 3,286 ▲9
이오스 1,009 ▲12
퀀텀 3,188 ▲21
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
비트코인 136,668,000 ▼140,000
이더리움 2,618,000 ▲4,000
이더리움클래식 24,670 ▲20
메탈 1,234 ▲5
리스크 774 ▲8
리플 3,282 ▲4
에이다 1,026 ▲6
스팀 216 ▼1
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
비트코인 136,610,000 ▼290,000
비트코인캐시 533,500 ▼3,500
이더리움 2,619,000 ▲1,000
이더리움클래식 24,670 ▲70
리플 3,284 ▲6
퀀텀 3,147 0
이오타 302 ▼7
ad